문의하기
    콘텐츠

    지금 주목해야 할 국내 여행 트렌드

    등록일: 2025-02-04

    지역홍보 지역홍보정보 지역홍보트렌드 트렌드 마케팅트렌드 아리씨홈페이지 여행트렌드 관광트렌드

     

     

    들어가는 말

     

     

    1인 미디어와 전통 미디어의

    경계가 없어지는 세상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유튜브와 같은 1인 미디어가 급부상하면서 방송과 유튜브의 경계는 점차 흐려지고 있습니다.

    방송은 연예인의 영역, 유튜브는 비연예인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던 때를 뒤로하고

    유튜브에서 인지도를 쌓은 크리에이터가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 MBC 라디오스타 등 유명 예능에 출연하는 일이 익숙해졌죠.

    개그콘서트의 폐지 이후 뜸했던 코미디 프로그램은 유튜브에서 스케치 코미디 형태로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

     

    연예인이 유튜브로 진출하는 사례도 세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이영지가 출연하는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처럼 게스트를 초대하는 웹예능 형태가 유행하면서 연예인 호스트 채널도 많아졌고,

    고현정, 최화정, 한가인 등 오랫동안 연예계 생활을 해온 유명인들이 자신의 이름을 건 채널을 개설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이 현상들은 '방송은 지고, 유튜브는 뜬다'라는 개념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전통 매체와 뉴미디어 매체가 서로 융화되고, 교류하며 더 많은 캐릭터와 콘텐츠가 생겨나는 또 다른 큰 흐름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무경계한 미디어 세계에서 새로운 변화에 주목해보시길 바랍니다.

     

     


     

     

    국내 여행 핫 트렌드, ‘지역 축제’

     

    2024년의 국내 관광은 Z세대의 지역 축제 유입이 핵심이었습니다.

    ‘로컬’하면 옛것이 떠오르던 과거와 달리, 지역 축제가 Z세대 사이에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지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유니크함을 즐기고, 지역색이 담긴 공간과 굿즈, 체험을 즐기며 그 지역을 기억하는 ‘로컬리티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죠.

     

    문화체육관광부 <2023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국내 여행객의 여행지 활동으로 ‘지역축제/이벤트참가’ 항목의 비율이 2022년 대비 가장 크게 증가했습니다.

    올해 가장 화제가 된 ‘구미 라면축제’, ‘김천 김밥축제’를 개최한 두 지역은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선정한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1위에 등극하기도 했습니다.

    지역 축제는 SNS 화제를 비롯해 실제로 그 지역을 방문하는 큰 요인이며, 더 나아가 국민 대상 도시 브랜딩의 핵심 요소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개성 만점 축제가 기다려집니다.

     

     

     

    봄, 가을 축제 시즌에 아리씨에도 축제 홍보 문의가 늘고 있습니다.

    많은 대중이 우리 축제에 주목했으면 좋겠다(!) 하시면 방송 프로그램을 찾으시고,

    축제 당일에 방문객이 몰리길 원한다면 콘텐츠 투어(팸투어)를 진행하시기도 합니다.

    아리씨는 예산, 시기, 타깃에 따라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여러 지역의 다양한 축제 홍보를 모아 보고 싶으시다면 아리씨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세요.

     

     

    가벼운 여행이 대세

     

     

    여행객의 발걸음은 점차 가벼워지고 있습니다.

    숙박 예약 플랫폼 ‘부킹닷컴’의 <여행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여행 계획 수립 방법으로 ‘여행 간 계획을 세우지 않고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습니다.

    여행을 떠나는 것이 더 이상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일상 속의 일부로 자리 잡아 거창한 계획보다는 가볍게 다녀올 수 있는 취미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짧은 여행을 선호하는 트렌드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2024 국민여행조사 3분기 결과>를 살펴보면,

    1박 2일 이상의 여행은 성장세가 주춤했지만, 당일치기 여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1회 평균 관광여행 일수 또한 2019년 1.73일에서 2023년 1.57일로 줄어들었습니다.

    국내 여행객의 여행 결정 의사가 간소화되며 사전 예약이 필요한 숙박 여행보다 짧은 여행이 대세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여행 콘텐츠를 지속해서 노출하는 것이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여행 콘텐츠 기업 ‘여행에 미치다’는 여행을 떠나고 싶게 만드는 매체로 인스타그램과 유튜브가 각 1,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여행 크리에이터, 여행 프로그램 클립 등 다양한 여행지 정보 콘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며

    “여기 가보고 싶은데?”라는 순간의 충동이 여행을 떠나고 싶게 만드는 핵심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여행 정보 수집 트렌드에 발맞춰, 이에 맞는 홍보 전략 수립이 중요하겠습니다.

     

     

     

     

    시청자 반응에 주목하세요.

     

    그렇다면 지자체, 광고주가 주목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핵심은 시청자 반응입니다.

    콘텐츠의 바다에 사는 요즘, 네티즌은 수많은 콘텐츠 중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 콘텐츠 반응을 활용합니다.

    댓글-좋아요를 통해 콘텐츠에 관한 관심을 표현하고,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함께 가자며 제안하고,

    저장 기능을 통해 실제 방문을 위한 정보 아카이브로 사용합니다.

    즉흥적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요즘의 여행 소비자들을 사로잡기 위해 그들의 ‘장바구니’에 우리 지역이 들어갈 수 있도록 집중해야 합니다.

     

     

     

    시청률만이 홍보 성적표가 아닙니다.


     

     

    시청률, 조회 수가 잘 나오면 다였던 시대는 갔다고 단언합니다. 우리 지역이 소개된 방송프로그램의 시청률이 높으면 우리 지역으로 많이 올까요?

    크리에이터 게시물의 조회 수가 많다고 좋은 걸까요? 시청 콘텐츠로서의 성과와 실제 방문/소비 연계는 꽤 다릅니다.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홍보는 그들을 움직입니다. TV를 본 뒤 검색하고, 유튜브를 본 뒤 후기를 찾아봅니다.

    가고자 하는, 사고자 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홍보로의 목표 변환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번 콘텐츠는 몇만 뷰일까?”라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우리의 소비자가 해당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집중해야 합니다.

     

     

     

     

     

     

    목적에 따른 소비자 행동 분석

     

    이제 홍보 목적에 따른 다각적인 성과 분석은 필수입니다.

    내가 어떤 목적으로 이 홍보를 진행했는지에 따라 다각적인 성과 분석과 그에 따른 소비자 행동 분석이 필요합니다.

    글로벌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를 진행했다면 해당 지역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고,

    특산물 홍보가 목적이었다면 소비력이 있는 타깃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겠죠.

    핵심은 우리가 뭘 하고자 했는지를 명확히 설정하고, 그에 맞는 소비자 데이터 산출을 통해서 더 정확한 홍보 성과 측정이 필요합니다.

     

     

    실제 관광/소비 지표 분석

     

    후속 홍보 계획은 과학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홍보 이후 관광객이 더 왔을까?’, ‘우리가 홍보한 관광지에 정말 더 왔을까?’, ‘어떤 연령이 가장 많이 왔을까?’ 등과 같은

    실효성 분석이 진행되어야 후속 홍보의 목적과 다음 스텝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시청률, 조회 수로는 확인할 수 없는 사후 실제 성과를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충동적인 여행객을 움직이려면 우리는 조금 더 치밀해야 합니다.

     

    아리씨는 지자체 전문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서,

    위 과정을 전문 인력을 통한 분석 및 자체 데이터베이스 기반 결과 보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2025년을 위해, 아리씨와 함께해보세요.












    본 내용은 <2025 아리랑 매거진>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더 다양한 지자체 홍보 트렌드가 보고 싶다면?

    아리랑 매거진을 신청해보세요!





    2차 신청 기간

    2025. 2. 3 ~ 2025. 2. 14

     

     


    <신청 방법>

     

    1. 아리씨 홈페이지(https://recci.co.kr/) 접속

    2. 문의하기에 소속/이름/메일/전화 입력

    3. 문의 내용에 '아리랑매거진 신청' 및 주소 입력

     

     

    ▶ 아리랑매거진 신청 바로가기

     

     

     

     

    < 관련 콘텐츠 >

     

    ▶ 로컬 마케팅 고수들은 도전해라! 아퀴즈 온 더 블럭 시즌 2 (클릭)

     

     

    ▶ 무료인데 아직도 신청안했다고? 아리랑매거진 2025 (클릭)

     

     

     

    지금 로그인하고
    전문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하기
    a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