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하기
    콘텐츠

    34만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가 말하는 카페 취재 노하우 - 춘천 커피 콘페스타 01

    등록일: 2024-06-25

    아리씨 임팩투어 임플루언서팸투어 팸투어 축제 축제홍보






    지난 10월 28일 춘천에서 '춘천 커피 콘페스타'가 열렸습니다!
    총 3개의 행사로 알차게 꾸려졌는데요.
    춘천 곳곳에서 커피를 주제로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이 모였습니다.
    카페 취재부터, 콘서트, 토크쇼까지! 아리는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했는데요.
    춘천 커피에 대해 알게 된 정보도 많고, 추억도 쌓으며 즐거운 자리였답니다.
    
    본 콘텐츠는 2023년 10월 28일에 열린 춘천 커피 콘페스타의 첫번째 행사인
    '공간 인플루언서 탐닉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가이드' 강연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편집자 주 ; 커피의 공간, 카페 취재에 주목한 이유
    
    카페가 처음 생겨날 때, 카페의 주인은 커피가 아니었습니다.
    공동 주거 형태가 대부분이었던 시절 친구나 연인을 만나기 위한 아지트에 가까웠죠.
    분위기 좋은 음악에 널찍한 소파, 나와 담소를 나눌 가까운 누군가가 있는 카페에
    커피는 그저 평화로운 분위기를 돋우는 낭만적인 요소에 불과했습니다.
    카페에서 만나! 누군가를 만나러 향했습니다.
    

    지금은 커피를 만나러 갑니다.
    내 입맛에 딱 맞는 커피를 찾아서, 새로운 커피 경험을 찾아서 말이죠.
    카페는 이제 사람들이 대화를 나누고, 관계를 쌓는 공간은 물론,
    커피의 아이덴티티를 알려주는 ‘집’과 같은 역할도 도맡고 있습니다.
    카페 의자는 얼마나 편안한지,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은 어떤지,
    어떠한 인테리어가 내 마음을 동하게 하는지......
    우리가 만나는 커피와 사람에 대한 경험을 극대화 해줄 수 있는 공간으로 카페를 찾게 되었죠.
    

    주로 어떻게 카페를 찾는지 물어봤을 때 카페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인스타그램을 떠올리실 겁니다.
    인스타그래머블(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인테리어나 분위기를 가진 카페, 일명 인스타 감성 카페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고,
    인스타그램은 카페 운영에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되었으니까요.
    하지만 아리씨는 단순히 잘 팔리는 인스타그램 마케팅에 집중하는 걸 원치 않았어요.
    카페 자체의 공간이 풍기는 아이덴티티를 인스타그램에 어떻게 담아내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죠.
    짧게 흘러가고 마는 SNS의 유행을 쫓기보다는
    그 공간에 꼭 가야만 하는 이유를 만들 줄 알아야 지속 가능성이 있을 테니까요.

    아리씨는 소외된 지역과 공간을 살리려는 회사로서,
    아이덴티티를 담은 깊이 있는 콘텐츠가 아리씨의 가치에 부합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만난 크리에이터, 공간 인플루언서 '탐닉'
    
    그래서 아리씨는 지난 10월 28일, 춘천 커피 콘페스타 첫번째 기획 행사로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포착해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기획하는 ‘탐닉’님을 커피의 도시, 춘천으로 모셨습니다.
    아래는 강연 내용 중에 일부를 질의응답 형식으로 전달해 드립니다.


    


    닉네임이 '탐닉'인 이유
    
    포토그래퍼와 카페 결합하면서, 자기 소개서 칸을 채우기 시작했을 무렵이었는데요.
    제 인스타그램을 보고 어떤 카페 사장님께서 협찬 문의 메일이 왔어요.
    분이 저를 '탐닉님'이라고 부르시더라고요.
    그 당시 제가 영어로 읽기 어려운 닉네임을 쓰고 있었는데, 제 소개에 있는 내용을 보고 그렇게 부르신 거죠.
    그 순간에 '이 이름이 기억에 남는 구나!' 깨달았고, 팔로워 투표를 통해서 '탐닉'이라는 닉네임을 갖게 되었어요.



    

    핵심은 아이덴티티와 꾸준함
    
    4천 명 남짓 되는 팔로워 규모로 4년 정도 머물러 있었어요.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잘 몰랐던 시절이었죠.
    '포토그래퍼의 공간 탐닉'이라는 아이덴티티를 명확하게 잡고, 비슷한 결의 콘텐츠를 꾸준히 발행했어요.
    포토그래퍼로서의 감각 있는 사진과 저만의 기준을 가지고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내용을 담아서요.
    
    그럼 이런 포스팅을 얼마나 자주 올려야 할까요?
    많은 크리에이터들은 하루 하나씩 포스팅을 올리는 경우가 많아요.
    중요한 건 '일상이 무너지지 않는 선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서 1일 1포스팅을 하는 게 중요해요.
    하나의 아이덴티티로 꾸준히 포스팅을 올리다보면 루틴이 생기고, 그 루틴을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이 긍정적으로 인식해서
    내 계정 자체가 가산 점수를 받을 수 있거든요.
    
    저 또한 22년에는 만 명 대 수준의 팔로워였는데요.
    23년 4월에 10만을 돌파하고, 현재 34만까지 도달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가 바로 꾸준한 발행이었어요.
    365일 동안 355개를 발행했거든요.
    반응이 미미한 콘텐츠도 있겠지만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인 발행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업로드는 분명 인스타그램 계정에 가산점을 주고, 결과적으로 J 커브 곡선을 그릴 만큼 팔로워나 콘텐츠 반응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사진 피드 콘텐츠 치트키 : 큐레이션

    큐레이션은 단순하게 말하면 주제에 맞춘 모음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에서는 치트키!로 통하는 콘텐츠인데요.
    여러 개 중에 하나가 마음에 들었다는 이유로 '저장' 버튼을 누르게 되기 때문이죠.
    4가지의 다양한 취향을 담으면 많은 타깃에게 어필할 수 있습니다.
    도쿄 카페를 예로 든다면, 10장의 공간을 소개한다고 했을 때 각 장소마다 취향 저격 포인트를 다르게 배치하는 거죠.
    세 곳 정도 특색 있는 디저트 전문 카페를 담고, 두 곳 정도는 공간에서 독창적인 매력이 있는 곳,
    다른 곳은 커피를 전문적으로 내세우는 곳으로 해서요.
    이것들 중에 하나라도 마음에 들면 좋아요는 안 눌러도 저장을 누르게 마련입니다.
    선택지가 많으면 친구에게 공유할 확률도 높아져요.
    
    춘천 카페 콘텐츠 비하인드

    춘천 카페에 대한 콘텐츠를 기획해서 발행했는데요.
    춘천은 저에게 '여행지'에 가까운 공간이었어요.
    더불어 '커피 도시'라는 정보를 담아서 여행객이 가면 좋을 만한 카페를 소개하고자 했습니다.
    시즌을 고려했을 때, 가을은 단풍의 계절이죠.
    그래서 단풍 구경을 함께할 수 있는 카페 제이드가든을 선택했습니다.
    또 코로나 이후에는 실내 규모가 크고, 통유리로 채광이 잘 들어오는 대형 카페가 인기가 많아졌어요.
    카페 220볼트가 창이 크고 춘천 뷰를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시각적으로 아름답더라고요.
    계절과 공간감 외에 다른 요소를 넣어서 다양한 취향을 공략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 '파머스 가든'을 추가했습니다.
    토마토, 옥수수, 고구마 등 귀여운 모양의 디저트가 시선을 사로잡겠더라고요.



    

    강연장인 '춘천로81' 카페를 콘텐츠에 담는다면?

    카페 자체의 층고가 높아서 공간이 쾌적하게 보여서 그런 부분을 강조할 것 같아요.
    입구에 들어섰을 때 머신과 디저트 음식이 눈에 띄기 때문에 포커싱해서 클로즈업 이미지를 찍어서 넣는 게 좋겠어요.
    벽면이 울퉁불퉁하고 거칠게 질감 처리되어 있는데 자연 속이 연상되는 부분도 좋고요.
    벽면의 질감을 살리는 사진을 선택해서 인테리어 외관 음식을 구성해서 10장의 이미지를 채울 것 같은데요?

    


    춘천 커피 콘페스타 현장 스케치 영상 보러가기▼
    



    ▲ 이미지를 클릭하면 <카카오톡 컨설팅 문의 채널>로 이동합니다.
    


    아리씨 뉴/미디어 홍보 프로세스가 알고 싶다면?
    

    ▼ 하단 콘텐츠에서 아리씨 사용법을 알아보아요~



    아리씨가 궁금하신가요? 



    ㈜아리씨는 다양한 미디어 솔루션과 사례를 가진 지자체 전문 홍보 대행사입니다.
    홍보 고민이 있으신 지자체 홍보 담당자님들은 아리씨로 문의하세요!
    ▼ 아래 배너를 클릭하시면 문의/상담 폼으로 연결됩니다.



    지금 로그인하고
    전문을 확인해보세요.

    로그인 하기
    arrow